본문 바로가기
728x90

2022-2/데이터통신11

[데이터통신] Wireless LAN(2) (CSMA/CA) 유선통신과 달리 무선랜에서는 collision 감지하는것이 어렵다. 따라서 무선랜에서는 가능한 한 충돌을 회피(collision avoidance)하는 CSMA/CA방식을 사용한다. 왼쪽은 sender, 오른쪽은 receiver이다. 우선 sender는 전송하기 전 channel idle인지 확인한다. idle이라면 바로 전송하는것이 아니라, 일정시간 대기한다. (DIFS) DIFS시간이 끝날 때까지 계속 idle하다면, 데이터를 전송한다. receiver는 데이터를 받았다면 SIFS만큼 대기한 이후, ACK를 보내준다.(잘 받았다는 뜻) sender는 일정 시간동안 ACK가 오기를 기다리고, ACK가 정상적으로 오면 전송이 완료되었다고 생각한다. 반면 ACK가 도착하지 않는다면, 전송이 실패했다고 생각.. 2022. 12. 8.
[데이터통신] Wireless LAN Wireless LAN =무선 랜 =IEEE 802.11 =Wi-Fi 무선 랜을 사용하면서 2.4GHz, 5GHz 라고 적혀있는걸 본 적 많을 것이다. 이것은 주파수 대역을 표시해 놓은 것이다. 무선 랜 통신은 ISM band 이 주파수 대역은 ISM band에 포함되는 주파수대역에 포함된다. ISM band는 Industrial, Scientific and Medical band 라는 뜻으로, 산업,과학,의료용 기기에 사용하기 위한 주파수 대역이라는 뜻이다. Non-license 대역으로, 사용시 허가를 받지 않아도 된다. IEEE 802.11 자료인데, 새로운 표준이 나올 수록 Bandwidth가 커지고 Max data rate도 커진 것을 볼 수 있다. IEEE802.11은 두 가지 모드가 있다 I.. 2022. 12. 4.
Switch Star 토폴로지에서 쓰이는 Switch 장비를 알아보자. 스위치에 연결된 호스트가 프레임을 보내면, 스위치가 프레임에있는 헤더 안의 dest(목적지)를 보고 알맞은 대상에게 프레임을 전송한다. 이 때, 목적지에 보내려면 몇 번 포트로 보내야 할까? 스위치 테이블에서 목적지의 포트번호를 찾아 해당 포트번호로 보낸다. 스위치 테이블에 해당하는 목적지 정보가 없다면 플러딩을 통해 전송하고, 새로운 정보를 얻을 때마다 스위치 테이블에 저장하는 셀프러닝을 한다. Switch 스위치는 link-layer 장비이다. (=L2장비) 이더넷 프레임을 수신하고, 전달한다. 프레임을 수신하고, 하나 이상의 링크로 프레임을 전달한다. CSMA/CD가 적용된다. 세번째 설명에서, 하나 이상의 링크로 프레임을 전달한다고 하는데.. 2022. 11. 23.
ARP and Ethernet ARP(Address Resolution Protocol) 해석하자면 주소 결정 프로토콜이다. 전송 목적지의 IP만 알고 MAC주소는 모를 때, IP를 이용해서 MAC주소를 알아내는 방법이다. MAC Address NIC(랜카드) 제조 시 48비트의 MAC 주소를 ROM에 구워버리기 때문에, MAC주소는 변경이 불가능하다. [1A-2F-BB-76-09-AD] 처럼 16진수로 4비트씩 나타낸다.(총 48비트) MAC address는 IEEE라는 협회에서 할당 관리한다. 각각의 MAC주소는 유일하다. ARP는 IP주소를 이용해서 MAC주소를 어떻게 알아낼까? ARP table이 있다. (예시) IP address MAC address TTL(Time to live) 123.456.7.12 92-43-F4-2.. 2022. 11. 16.
[데이터통신] Data Link Layer 지금까지는 물리계층에 대해 공부를 했었다면 이번시간부터는 데이터링크 레이어에 대해 알아본다. 데이터링크 레이어는 원홉 통신을 담당하고 네트워크레이어에서 내려온 데이터그램에 헤더를 붙여 프레임을 구성한다 (붙이는 헤더에는 보내는host의 MAC주소, 받는host의 MAC주소 등의 정보가 들어있다) Broadcast(shared wire or wireless medium) 송신 데이터가 네트워크에 연결된 모든 호스트에 전송되는 방식. 예시: (유선)버스 토폴로지,(무선)WiFi 4G 5G 라디오 등 데이터를 전송할 때.. 하나의 선으로 여러 대의 pc가 연결되어 있다고 하자.(버스형) 만약 동시에 여러 pc에서 신호를 발생시키면..? collision(충돌)이 생겨 신호를 제대로 전달 할 수 없다. 이 때 .. 2022. 11. 2.
Analog Transmission 이번 시간에는 Digital data 를 Analog signal로 변환하는 방법에 대해 알아보자. Digital Data to Analog Signal 무선 통신에 주로 사용한다 (Wi-Fi, Zigbee, LTE , NR , etc.) Bitrate and Baud Rate Bit rate = N : 초당 비트 수 (bps) Baud rate = S(보오 레이트): 초당 Signal element의 수 baud rate is less than (or equal) to the bit rate 보오 레이트는 비트 레이트보다 작거나 같다 r : 하나의 signal symbol이 전송하는 bit 양. r = bit / signal symbol S = N / r 예시) 아날로그 시그날이 4bit per sig.. 2022. 10. 19.
Digital TransMission(2) - Ananlog data to digital data conversion 저번 시간에는 Line coding: digital data -> digital signal 변환 방법을 배웠다. 이번시간에 배울 내용은 analog data -> digital data 변환 방법이다. PCM (Pulse Code Modulation) 아날로그 데이터를 디지털 데이터로 바꾸는 방법 PCM은 3단계로 나타낼 수 있다. 1. Sampling 2. Quantization 3. Binary encoding 아날로그 데이터의 특징 두가지가 있는데, PCM의 step을 따라가면 이 특징들을 디지털데이터의 특징으로 바꿀 수 있다 1. 연속적인 값을 가짐 2022. 10. 12.
Digital Transmission (1) 저번 시간에 Data, Signal을 알아봤다 데이터는 아날로그,디지털로 나눠지고 시그널도 아날로그,디지털로 나눌 수 있다 그러면 데이터를 시그널로 전송하는 방법은 Digital data -> Digital Signal Digital data -> Analog Signal Analog data -> Digital Signal Analog data -> Analog Signal 네 가지 방법이 있을거 같다. 이번 시간에는 Digital data -> Digital Signal에 대해 알아보자. (참고로 Digital - Digital은 유선 랜wired LAN 통신에서 사용한다고 함) Line Coding 회선 부호화 0과1의 디지털 데이터를 -> 0과1의 디지털 시그널로 변환하기. 예를들면 디지털 데이터.. 2022. 10. 7.
Data and Signal Analog and Digital Data 아날로그 데이터 사람의 목소리를 생각해보면 저음-고음 사이의 수많은 높낮이를 모두 표현 가능하다. 아날로그 데이터는 연속적인 값을 가지고, 무한한 값들을 표현 가능하다. 디지털 데이터 0과 1을 가지는 이진수로 표현하기 때문에, 0과 1 사이에 있는 값을 가질 수 없다. 디지털 데이터는 이산적인 값만 표현 가능하다. 데이터를 전송하기 위해서, 데이터는 전기적 신호(시그널)로 변환되어야 한다. 이 때, 데이터를 신호로 변환해 주는것이 부호기(encoder)이다. Analog and Digital Signal 아날로그 시그널 연속적이고, 무한한 값들을 표현 가능함 디지털 시그널 이산적, 제한된 수의 값만 표현 가능함 Periodic and Non-periodic S.. 2022. 9. 30.
Protocol, Layer, and TCP/IP Protocol Model Protocol? 프로토콜이 뭘까 간단하게 '통신 규약'이라고 할 수 있겠다. (컴퓨터에서 데이터를 주고받는 규칙) 규칙은 왜 필요한데? 세계 각국 여러 회사에서 만드는 장비는 수도 없이 많다. 표준이 없으면 여러 장비들 간에 커뮤니케이션이 힘들기 때문에 프로토콜은 필요하다. Application Transport Network Data Link Physical TCP/IP Protocol Model을 간단하게 표현 해 봤다 5개 층으로 이루어진 5 layer system이다. 왜 레이어를 여러개로 나누었을까? 세분화함으로써 얻는 장점은 1. 복잡성이 낮다(코드 수정 등의 유지보수 용이) 2. 유연성이 높다(한 레이어만 교체하는 등) 등이 있다. 전송시 가장 위에 있는 Application부터 Physi.. 2022. 9. 25.
Topology/Data Flow/Network Range physical topology-네트워크가 물리적으로 배치되는 형식 Mesh topology Star topology Bus topology Ring topology Mesh 각각의 pc가 1:n으로 연결.(모든 노드가 모두 서로 연결됨) 장점: 견고함,보안이 좋음, 개별도로가 있음 단점: 케이블과 I/O포트가 많이 필요함 Star(성 형*) 장점: 비용이 적게 든다, 견고함 단점: 허브가 고장나면 망함. 성 형은 요즘 일상에서 가장 많이 사용되는 형태. 스위치라는 장비를 사용 Bus 케이블 하나에 발 여기저기 걸쳐놓은거 장점: 설치가 쉽다. 단점: 중간에 하나 추가하는게 힘듦(tap-tap 거리가 일정해야해서 하나 추가하기가 힘듦), 버스케이블 고장나면 모든 전송이 다 안됨 Ring 장점: 설치, 추가.. 2022. 9. 20.
728x9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