운영체제란 무엇인가?
유저와 컴퓨터 하드웨어 사이에 있는 프로그램.
운영체제 시스템의 목표는 다음과 같다
-일반유저 관점: 프로그램 실행, 문제해결을 쉽게 하게 해줌
-시스템 관점: 자원관리(cpu,메모리,스토리지), 프로그램 제어
-편리성(convenience)과 효율성(efficiency). (ex: windows의 GUI는 편리성을 줌)
운영체제의 편리성과 효율성은 대개 trade-off 관계이다.
컴퓨터 시스템은 네 가지 요소로 구성됨.
-하드웨어: CPU,memory, I/O devices(스토리지 등)
-운영체제: (여러 응용프로그램 또는 유저들의 H.W 사용요청이 있을 때 자원관리를 함)
-응용프로그램
-유저
운영체제는 자원 할당자임.
물리, 추상화된 자원을 모두 다 관리함.
Physical Resource: CPU,Memory,Terminal,Network ...
Abstracted Resource: Task, segment/page, file system, terminal driver, communication protocol ...
(물리자원을 관리하기 위해, 해당 물리자원에 대응되는 추상자원을 만들어 관리)
운영체제는 요청 충돌이 있을 때 효율적이고 공평하게 자원을 나누어야 함.
운영체제는 control program임.
부적절한 유저 또는 에러를 방지하기 위해 실행을 제어하기도 함.
(다른 프로그램 영역에 접근하거나, 권한 이상의 일을 요구하는 등의 부적절한 상황)
커널이 항상 실행되고있음
부트스트랩 프로그램.
일반적으로 펌웨어로 불리는 ROM에 저장됨.
POST루틴을 실행하며 시스템 초기화
부트스트랩은 컴퓨터 시스템이 처음 시작될 때 실행되는 작은 프로그램입니다. 이 프로그램은 운영체제가 로드되기 전에 실행되며, 하드웨어 자원을 초기화하고, 운영체제를 로드할 수 있는 환경을 구성합니다. 부트스트랩은 BIOS에 내장되어 있으며, 컴퓨터를 켜면 자동으로 실행됩니다.
반면, 부트로더는 부트스트랩의 일부라고 볼 수 있습니다. 부트로더는 부트스트랩이 하드웨어를 초기화하고, 운영체제를 로드할 수 있는 환경을 구성한 후에 실행됩니다. 부트로더는 하드웨어와 운영체제 사이의 인터페이스 역할을 합니다. 즉, 하드웨어와 운영체제 간의 통신을 중계하고, 운영체제를 로드하여 실행시키는 역할을 합니다.
//출처: chatGPT
'2023-1 > 운영체제' 카테고리의 다른 글
CPU scheduler (0) | 2023.04.05 |
---|---|
Process and Scheduling 2 (0) | 2023.03.31 |
Process and Scheduling (0) | 2023.03.16 |
Storage Structure/Multiprogramming/Multitasking/process/memory/file (0) | 2023.03.13 |
Computer System Organization(Bus, Interrupt) (0) | 2023.03.09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