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명령행 매개변수(command-line argument)
main()메소드의 매개변수는 String args[]
프로그램에 입력한 값을 순서대로 args[]배열에 저장한다.
명령행 매개변수를 사용할 때는
x=Integer.parseInt(args[0]); 이런 식으로 사용할 수 있다.
(이 예시는 args[0]을 정수형으로 저장하기위해 Integer.parseInt 사용)
기본적으로 String타입이기 때문에 다른 자료형으로 사용할 때에는 변환을 해 줘야 한다.
public class q02 {
public static void main(String[] args) {
float sum;
sum=0;
for(int i=0;i<args.length;i++) {
sum+=Float.parseFloat(args[i]);
}
System.out.println("sum = "+sum);
System.out.println("avg = "+(sum/args.length));
}
}
args.length 를 사용하면 배열의 원소의 수를 알 수 있다
(위 코드는 args.length를 이용하여 args[]에 있는 값들의 평균을 구하는 예시임)
클래스 상속
class Child extends Parent{
. . .
}
class 클래스명 extends 부모클래스 <== 이런 형태로 상속선언 가능.
클래스 배열
자바에서 배열을 선언할 때
int[] array = new int[10];
이런 형태로 작성했었다.
클래스 배열도 마찬가지로
Circle[] c = new Circle[5];
이런 방식으로 배열 선언하면 된다
예제로 푼 Book 클래스 코드
//22-09-27 예제4-7: 객체 배열 만들기 연습
import java.util.Scanner;
public class Book {
String bookName;
String author;
Book(String bookName, String author){
this.bookName = bookName;
this.author = author;
}
public static void main(String[] args) {
Scanner sc = new Scanner(System.in);
String bn;
String au;
Book[] b = new Book[2];
for(int i=0;i<b.length;i++) {
System.out.print("책 이름>>");
bn = sc.nextLine();
System.out.println("저자 이름>>");
au = sc.nextLine();
b[i] = new Book(bn,au);
}
for(int i=0;i<b.length;i++) {
System.out.println("b["+i+"] =>"+"("+b[i].bookName+","+b[i].author+")");
}
sc.close();
}
}
728x90
'2022-2 > 자바' 카테고리의 다른 글
객체와 클래스 (0) | 2022.10.11 |
---|---|
3장 클래스,캡슐화, 다형성 (0) | 2022.10.09 |
자바 - 객체 복사 참고사항 (0) | 2022.09.25 |
자바 실습 - 방 배정 (2) | 2022.09.25 |
자바 기초 (입출력) (0) | 2022.09.17 |
댓글